묵주기도 노베나 — 성모님께 (ROSARY NOVENAS TO OUR LADY)

  • 지은이: 찰스 V. 레이시(Charles V. Lacey)
  • 서문: 레이먼드 P. 로렌스 신부(Rev. Raymond P. Lawrence)
  • 출판: 벤치거 브라더스(Benziger Brothers, Inc.)

서지·판권(書誌·版權)

  • 저작권: © 1926, 1954, Benziger Brothers, Inc. (Printed in U.S.A.)
  • Nihil Obstat: 존 M. A. 피언스, S.T.D., 서적 심사관(Censor Librorum)
  • Imprimatur: † 프랜시스 추기경 스펠먼(Francis Cardinal Spellman), 뉴욕 대교구장
  • 장소·일자: 뉴욕(New York), 1954년 9월 30일

헌정(獻呈)

하느님의 어머니(聖母)이며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母后)이신 마리아께.

깊은 경의를 담아, 윌리엄 L. 리디(William L. Liddy) 몬시뇰(† 1924년 2월 16일)을 기리며.


서문(Preface)

벤슨 몬시뇰은 그의 초기 소설 가운데 하나에서 묵주기도(Rosary)에 관한 아름다운 설명을 들려준다. 한 연로한 수녀가 개신교 소녀에게 이 신심을 이해시키려 애쓰는 장면이다. 질문자는 이렇게 묻는다.

“그렇게 똑같은 기도를 자꾸 반복하는 게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마거릿 부인은 잠시 침묵하다가 말했다. “지난주에 마틴 부인을 보았습니다. 무릎에 아이를 앉히고 팔로 아이를 감싼 채 가만히 앞뒤로 흔들고 있었지요. 그때마다 아이는 ‘엄마…’라고 말하더군요.”

“하지만 그 애는 어린아이였잖아요.” 이사벨이 잠시 뒤에 말했다. 마거릿 부인은 부드럽게 성경 말씀을 인용했다. “‘너희가 어린아이들과 같아지지 않으면….’ 보렴, 이사벨. 하느님과 그분의 복되신 어머니 앞에서 우리는 그저 아이들일 뿐이란다.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하고 반복하여 바치는 것은 우리가 성모(聖母)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식이지. 그리고 이 구슬 줄은 성모님의 허리띠와 같단다. 성모님의 자녀들은 그것을 만지작거리며 조용히 속삭이기를 좋아하지. 또 ‘주님의 기도’도 함께 바친단다. 그런 동안 성모님은 당신의 귀한 아드님을 보여주는 그림들을 우리에게 펼쳐 보이시지. 우리가 우리를 위해 해 주신 놀라운 일들을 하나하나 바라보게 하시고, 페이지를 넘기며 다시 시작하게 하신단다.”

묵주기도에서 가장 큰 유익을 얻은 이들은 바로 이렇게 묵주기도를 이해한 이들이다. 사랑으로 가득 찬 마음으로 하늘의 어머니 곁에 머물며, 다정한 말을 속삭이고, 그동안 변화하는 신비들이 불러일으키는 경이로운 그림들을 바라보는 동안 언제나 새로운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그림책의 마지막 장까지 다다르면,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아이의 흥미처럼 처음으로 되돌아가 한 장 한 장 다시 넘긴다.

이 작은 책에 담긴 신심에서, 각 1단(十)의 시작에 바치는 기도문은 그 신비의 ‘그림’을 단순하고도 인상적으로 마음 앞에 펼쳐 보여 준다. 마치 누군가 우리 곁에서 우리가 놓치기 쉬운 아름답고 흥미로운 점들을 짚어 주는 듯하다. 그리고 우리의 ‘봄’이 헛되지 않도록, 마지막에는 그 신비가 가리키는 은총(恩寵)을 청하도록 이끈다. 노베나를 바치는 경우가 아니라 해도, 이것이야말로 묵주기도를 바치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우리는 느끼게 된다.

이 소책자가 설명하는 신심은 이러한 실행을 널리 퍼뜨리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이는 하느님께 소중한 세 가지—잦은 영성체(靈聖體), 덕행(德行)의 실천, 성모 마리아께 대한 묵주기도(Rosary) 신심—를 놀랍게도 하나의 체계로 묶어 준다. 이를 성실히 실천하는 이는 하늘을 에워싸고(‘포위하고’) 간청하는 격이 되어 반드시 응답을 받게 될 것이다.

레이먼드 P. 로렌스 신부


기원과 방법(起源·方法) — ORIGIN AND METHOD

이 신심(神心), 곧 저자가 ‘성모님께 드리는 묵주기도 노베나’(“Rosary Novenas to Our Lady”)라 부른 바는 비교적 최근의 기원(起源)을 가진다.

“1884년, 나폴리의 아그렐리 사령관의 집에서 일어난 폼페이의 성모(Our Lady of Pompeii) 발현에서, 하늘의 어머니께서는 당신을 어떻게 부르기를 원하시는지를 알려 주셨습니다.

열세 달 동안 사령관의 딸 포르투나 아그렐리는 혹독한 고통과 경련에 시달렸고, 이름난 의사들마저도 더는 손쓸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1884년 2월 16일, 병든 소녀와 가족들은 묵주기도 노베나를 시작했습니다. 3월 3일, 거룩한 묵주기도의 모후께서 그에게 나타나셨습니다. 마리아께서는 빛나는 이들에 둘러싸인 높은 옥좌에 앉아 계셨고, 무릎에는 하느님의 아드님을, 손에는 묵주를 들고 계셨습니다. 동정녀와 아기 예수님은 금실로 수놓은 옷을 입고 계셨습니다. 그 곁에는 성 도미니코성녀 가타리나(시엔나의 카타리나)가 동행하고 있었습니다. 옥좌는 꽃으로 풍성히 장식되어 있었습니다. 소녀가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 저를 위해 저희 어머니께 청해 주소서!’ 하고 말하자, 복되신 동정녀께서는 소녀에게 3번의 묵주기도 노베나를 바치라고 이르셨습니다. 환시는 사라졌고, 소녀는 완전히 치유되었습니다.

소녀는 몇 년 뒤 다시 병이 들었고, 거룩한 동정녀의 또 다른 발현 속에서 성모님께 이렇게 외쳤습니다. ‘거룩하신 동정녀 마리아님, 저는 당신을 다른 여러 호칭으로 불러 청원(請願)하였고, 그때마다 은혜를 얻었습니다. 이제는 저에게 그토록 사랑스러운 칭호, 곧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로 당신을 불렀으니 저의 간청을 거절하지 마소서!’ 그러자 동정녀께서 대답하셨습니다. ‘딸아, 너는 여러 호칭으로 나를 불러 왔고 그때마다 은총을 얻었다. 이제 네가 나를 특별히 사랑스러운 그 칭호,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로 불렀으니, 내가 더는 네 청을 거절할 수 없구나. 세 번의 노베나를 바쳐라. 그러면 모든 것을 얻을 것이다.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께서는 다시 한 번 나타나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든 나에게 은혜를 받고자 하면 묵주기도의 기도로 3회의 노베나를 바치고, 감사의 뜻으로 3회의 노베나를 바쳐라.’

이 ‘묵주기도의 기적’은 교황 레오 13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그가 여러 회칙을 통해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묵주기도를 사랑하고 열심히 바치라고 권고하게 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 The Rosary, My Treasure, Clyde 소재 베네딕토 수녀원(Benedictine Convent, Clyde, Mo.)

노베나의 구성:

  • 27일 동안 매일 묵주 5단을 바치며 청원(請願)한다.
  • 이어서, 청원이 응답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다시 27일 동안 매일 묵주 5단을 바치며 감사(感謝)한다.
  • 묵상 순서: 첫째 날 환희(歡喜)의 신비, 둘째 날 고통(苦痛)의 신비, 셋째 날 영광(榮光)의 신비, 넷째 날 다시 환희… 이와 같이 54일 내내 환희→고통→영광의 3일 주기로 순환한다.

이는 수고로운 노베나이지만, 사랑의 노베나이다. 진지한 이들이라면 과도하게 어렵다고 여기지 않을 것이다. 당신의 청원이 문자 그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묵주기도의 모후께서 각 사람이 가장 필요로 하는 바를 알고 계심을 확신하여라. 당신의 기도는 헛되지 않았다. 어떤 기도도 외면되지 않았다. 우리의 복되신 어머니께서는 한 번도 실패하신 적이 없다.

각 ‘성모송’ 하나하나를 성모님 발치에 바치는 드문붉은 장미 한 송이로 여기도록 하라. 이 영적(靈的) 장미들영적 영성체와 함께 화환으로 엮어 바치면, 성모님께 가장 기쁘고 받으실 만한 선물이 될 것이며, 당신 위에 특별한 은총이 내릴 것이다. 그분의 마음 가장 깊은 곳에 이르고자 한다면, 이 장미들을 더욱 풍성히 드리도록 하라.

주(註): 교령 준수(NOTE)

교황 우르바노 8세 및 기타 여러 교황의 교령을 준수하기 위해, 저자는 본서에 서술된 내용에 관하여 인간의 확실한 증언에 부여되는 권위 이상이 요구되지 않음을 밝힌다(곧, 사적 계시의 성격에 부합하는 한계 안에서 이해되어야 함).


약속(Promises) — 성모님께서 성 도미니코와 복자 알라노에게 하신 약속

(다음의 목록은 ‘정식 교도권 선언’이 아니라, 전승에 의거한 약속으로 제시됩니다. 위의 “주: 교령 준수” 참조.)

  1. 내 묵주기도를 독실히 바치는 모든 이에게, 나는 특별한 보호매우 큰 은총을 약속한다.
  2. 내 묵주기도를 끈기 있게 바치는 이들은 어떤 두드러진 은혜를 받을 것이다.
  3. 묵주기도는 지옥을 대적하는 지극히 강력한 갑옷이 될 것이다. 이는 악습을 파괴하고, 죄에서 건져 주며, 이단을 몰아낸다.
  4. 묵주기도는 덕행(德行)과 선행을 풍성하게 하며, 하느님의 가장 넘치는 자비를 불러오고, 세상 사랑을 하느님 사랑으로 대체하여, 하늘의 영원한 선을 갈망하게 높여 준다. 오, 많은 이들이 이 방법으로 자신을 성화한다면!
  5. 묵주기도를 통해 나에게 의탁하는 이들은 멸망하지 않을 것이다.
  6. 묵주기도를 공경되이 바치며 그 신비를 묵상하는 이들은 불행에 압도되지도, 악사(惡死)로 죽지도 않을 것이다. 죄인은 회개하고, 의인은 은총(恩寵) 안에서 성장하여 영원한 생명에 합당하게 될 것이다.
  7. 나의 묵주기도에 참으로 헌신한 이들은 교회의 위로은총 없이 죽지 않을 것이다.
  8. 내 묵주기도를 바치는 이들은 삶과 죽음의 때에 하느님의 충만한 은총을 찾을 것이며, 복된 이들의 공로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9. 나는 연옥(煉獄)에서 나의 묵주기도에 헌신한 영혼들을 지체 없이 건져 낼 것이다.
  10. 나의 묵주기도의 참된 자녀들은 하늘에서 큰 영광을 누릴 것이다.
  11. 나의 묵주기도를 통하여 청하는 것얻을 것이다.
  12. 나의 묵주기도를 널리 전파하는 이들은 모든 필요에서 나를 통하여 도움을 받을 것이다.
  13. 나는 내 아드님께 얻어 두었으니, 묵주회(Confraternity of the Rosary)의 모든 회원들이 삶과 죽음에 하늘의 성인들을 형제로 두게 될 것이다.
  14. 나의 묵주기도를 성실히 바치는 이들은 모두 내가 사랑하는 자녀들, 곧 나의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형제자매들이다.
  15. 나의 묵주기도에 대한 신심예정(豫定·predestination)의 특별한 표지이다.

적용 메모

  • ‘묵주기도’는 한자 병기 없이 묵주기도(Rosary)로 통일. 성모(聖母), 덕행(德行), 은총(恩寵), 연옥(煉獄) 등은 첫 출현에 한자 병기.
  • 기도문 본문(‘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천상의 모후’ 등)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공용문을 본문에 대입(이후 세션에서 적용). 본 세션은 서문·서술·전승 텍스트 중심이라 -하소서/해주소서 경어체는 해당 부분에 한정하여 추후 적용.

환희(歡喜)의 신비

(Rosary Novenas to Our Lady)


공통 진행 안내(청원/감사 도입 + 시작 기도)

묵주기도 전 기도

  • 성호경: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이어서 성모송 1회.
    ※ 본문 기도문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공용본을 그대로 대입합니다.

청원(請願) 도입 — In petition

지극히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시며 저의 어머니 마리아님, 만세! 저는 당신 발치에 무릎을 꿇고 감사와 사랑을 드리며, 당신께 장미 화관을 바치오니—당신의 기쁨을 기억하게 하는 눈같이 흰 봉오리들로 엮었습니다. 각 봉오리는 하나의 거룩한 신비를 당신께 상기시켜 드리고, 열 송이는 제가 간절히 구하는 특정 은총(恩寵)을 위한 청원으로 함께 묶여 있나이다.

오, 천상의 모후시며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시는 분, 당신을 부르는 모든 이의 어머니시여! 당신께서 제 예물을 굽어보시면 그 매듭(청원의 끈)을 알아보시리라 믿나이다. 당신께서 제 예물을 받아들이시듯, 저의 청원도 받아들이시어, 당신의 넉넉하신 너그러움으로 제가 그토록 간절하고 신뢰로이 구하는 은혜를 내려 주소서. 저는 당신께 구하는 어떤 것도 낙심하지 않사오며, 저의 어머니이심을 드러내소서!

(이후: 사도신경 → 주님의 기도 → 성모송 3번 → 영광송)

감사(感謝) 도입 — In thanksgiving

지극히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시며 저의 어머니 마리아님, 만세! 저는 당신 발치에 감사로 무릎을 꿇고, 당신께 장미 화관을 바치오니—당신의 기쁨을 기억하게 하는 눈같이 흰 봉오리들로 엮었습니다. 각 봉오리는 하나의 거룩한 신비를 당신께 상기시켜 드리고, 열 송이는 제가 한때 간청하던 특정 은총에 대한 감사로 함께 묶여 있나이다.

오, 천상의 모후시며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시는 분, 당신을 부르는 모든 이의 어머니시여! 당신께서 제 예물을 굽어보시면 그 매듭(감사의 끈)을 알아보시리라 믿나이다. 당신께서 제 예물을 받아들이시듯, 저의 감사도 받아들이소서. 당신의 넉넉하신 너그러움으로 제가 믿음과 신뢰로 구해 이미 받았던 은혜를 이제 마음 깊이 기억하며 찬미하나이다. 저는 당신께 청한 바를 낙심하지 않고 기다렸고, 당신은 참으로 저의 어머니이심을 보여 주셨나이다.

(이후: 사도신경 → 주님의 기도 → 성모송 3번 → 영광송)


환희의 신비 제1단 — 수태고지(受胎告知) (The Annunciation)

장면 요약: 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에게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여…”(루가 1장)라 인사하며 하느님의 어머니로 부르심을 알리고, 마리아는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제게 이루어지소서.” 하고 순명(順命)으로 응답한다.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수태고지(受胎告知)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가브리엘 천사가 오시어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여, 주님께서 당신과 함께 계십니다!’ 하고 지극히 높은 인사로 당신께 아뢰었을 때, 당신은 겸손히 아버지의 뜻에 순명하시며,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당신의 말씀대로 제게 이루어지소서.’ 하고 응답하셨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눈같이 흰 봉오리들겸손(謙遜)의 덕(德)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환희의 신비 제2단 — 엘리사벳 방문(訪問) (The Visitation)

장면 요약: 마리아가 친족 엘리사벳을 찾아갔을 때, 엘리사벳은 “여인들 가운데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하고 예언적으로 인사하고, 마리아는 마니피캇(Magnificat)으로 하느님을 찬미한다.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엘리사벳 방문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이 거룩한 친족 엘리사벳을 찾아가셨을 때, 엘리사벳은 ‘여인들 가운데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열매도 복되십니다!’ 하고 예언의 말씀으로 당신을 맞이하였고, 당신은 곧 노래 중의 노래마니피캇으로 응답하셨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눈같이 흰 봉오리들애덕(愛德)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환희의 신비 제3단 — 예수 성탄(誕生) (The Nativity)

장면 요약: 때가 차자 베들레헴마구간에서 세상의 구세주께서 탄생하시고, 천사들의 합창이 하늘에 가득 메아리친다—“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선한 이들에게 평화.”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주님의 성탄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때가 차서 당신, 거룩하신 동정녀께서 베들레헴의 마구간에서 세상의 구세주를 낳으셨고, 그때 천사들의 무리가 하늘을 가득 메우며 ‘하느님께 영광이 높은 데 계신 하느님께, 땅에는 선의(善意)의 사람들에게 평화!’ 하고 기쁨의 찬미를 높이 불렀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눈같이 흰 봉오리들탈속(脫俗)의 덕(세속 정신으로부터의 자유)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환희의 신비 제4단 — 예수의 성전 봉헌(奉獻) (The Presentation — sometimes called “the Purification”)

장면 요약: 모세의 율법에 따라 성전에서 아기 예수님을 봉헌하였을 때, 시메온 예언자가 그분을 팔에 안고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며, “당신의 영혼은 칼에 꿰찔릴 것입니다.”라는 말로 성모(聖母)고통을 예언한다(루가 2장).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성전 봉헌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께서 모세의 율법에 순명하시어 당신 아드님을 성전에 봉헌하셨을 때, 거룩한 예언자 시메온이 그 아기께서 자신의 구세주이심을 뵙게 해 주심을 하느님께 감사드리며, ‘당신의 영혼도 칼에 꿰찔리리이다’라는 말씀으로 당신의 수난을 예언하였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눈같이 흰 봉오리들정결(貞潔)의 덕(德)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환희의 신비 제5단 — 성전에서 잃으셨던 예수님을 찾으심 (The Finding of the Child Jesus in the Temple)

장면 요약: 사흘 동안 슬픔 속에 예수님을 찾던 마리아와 요셉은, 성전에서 율법 학자들과 말씀을 나누시는 예수님을 만나 기뻐한다. 이어 예수님께서는 어머니의 청에 순종하여 집으로 돌아가신다(루가 2장).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성전에서 예수님을 찾으신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께서 사흘 동안 슬픔 속에 그분을 찾으신 뒤, 성전에서 학자들과 말씀을 나누시는 예수님을 발견하시어 마음이 기쁨으로 가득 찼을 때를 기억하나이다. 그리고 당신의 간청에 예수님께서 순명(順命)하시어 당신과 함께 집으로 돌아가셨음을 묵상하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눈같이 흰 봉오리들하느님의 뜻에 대한 순명(順命)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적용 메모

  • 용어·한자: 정결(貞潔), 순명(順命)은 첫 출현에만 병기. 이후 반복 시 생략.
  • 성경 본문 인용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공용 번역을 기준으로 각주로 보완할 수 있다(후속 세션에서 Part IV ‘공식 기도문’ 대입 시 일괄 정리).
  • 본 세션의 ‘장면 요약’은 원문 묵상문을 요약·정리하여 독자 안내를 위한 문장으로 추가한 것이며, 원문 의미를 삭제하거나 변경하지 않았습니다. 원문 묵상문은 각 ‘묵상’ 단락에 충실 번역으로 반영되었습니다.
    ‘눈같이 흰 봉오리(snow‑white buds)’는 원문에서 환희의 신비를 상징하는 장미 이미지입니다(고통=붉은 장미, 영광=황금빛 장미는 후속 세션에서 동일 규칙 적용).
  • ‘기도 안내’의 주님의 기도/성모송/영광송은 모두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공용문을 사용합니다(본문 절 삽입은 Part IV에서 일괄 대입).
  • 한자(漢字) 병기는 첫 출현에만 표기했습니다(성모/은총/애덕/탈속/순명 등). 이후 반복 시 생략합니다.

고통(苦痛)의 신비

(Rosary Novenas to Our Lady)


공통 진행 안내(청원/감사 도입 + 시작 기도)

묵주기도 전 기도

  • 성호경: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이어서 성모송 1회.

청원(請願) 도입 — In petition

지극히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시며 저의 어머니 마리아님, 만세! 저는 당신 발치에 무릎을 꿇고, 당신께 장미 화관을 바치오니—피처럼 붉은 장미들로 엮었습니다. 이는 당신의 천상 아드님수난(受難)을 당신께 상기시켜 드리기 위함이오며, 당신께서 그 쓰라림완전히 나누어 받으셨기 때문입니다. 각 장미는 하나의 거룩한 신비를 당신께 상기시키며, 열 송이는 제가 간절히 구하는 특정 은총(恩寵)을 위한 청원으로 함께 묶여 있나이다.

오, 천상의 모후시며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시는 분, 당신을 부르는 모든 이의 어머니시여! 당신께서 제 예물을 굽어보시면 그 매듭(청원의 끈)을 알아보시리라 믿나이다. 당신께서 제 예물을 받아들이시듯, 저의 청원도 받아들이시어, 당신의 넉넉하신 너그러움으로 제가 그토록 간절하고 신뢰로이 구하는 은혜를 내려 주소서. 저는 당신께 구하는 어떤 것도 낙심하지 않사오니, 저의 어머니이심을 드러내소서!

(이후: 사도신경 → 주님의 기도 → 성모송 3번 → 영광송)

감사(感謝) 도입 — In thanksgiving

지극히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시며 저의 어머니 마리아님, 만세! 저는 당신 발치에 감사로 무릎을 꿇고, 당신께 장미 화관을 바치오니—피처럼 붉은 장미들로 엮었습니다. 이는 당신의 천상 아드님수난을 당신께 상기시켜 드리기 위함이며, 당신께서 그 쓰라림완전히 나누어 받으셨기 때문입니다. 각 장미는 하나의 거룩한 신비를 당신께 상기시키며, 열 송이는 제가 한때 간청하던 특정 은총에 대한 감사로 함께 묶여 있나이다.

오, 천상의 모후시며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시는 분, 당신을 부르는 모든 이의 어머니시여! 당신께서 제 예물을 굽어보시면 그 매듭(감사의 끈)을 알아보시리라 믿나이다. 당신께서 제 예물을 받아들이시듯, 저의 감사도 받아들이소서. 당신의 넉넉하신 너그러움으로 제가 믿음과 신뢰로 구하여 이미 받았던 은혜를 이제 마음 깊이 기억하며 찬미하나이다. 저는 당신께 청한 바를 낙심하지 않고 기다렸고, 당신은 참으로 저의 어머니이심을 보여 주셨나이다.

(이후: 사도신경 → 주님의 기도 → 성모송 3번 → 영광송)


고통의 신비 제1단 — 겟세마니에서의 예수님의 고뇌(苦惱) (The Agony in the Garden)

장면 요약: 올리브 동산에서 우리 주 예수님께서 세상의 죄를 사탄에게서 보이심 받아, 바치려 하신 희생에서 물러나도록 유혹을 받으신다. 그 참혹한 환시 앞에서 그분의 지극히 고귀한 피온몸의 땀구멍마다 흘러나오고, 어머니의 고통, 교회의 장차 겪을 고통, 그리고 성체(聖體) 안에서의 당신 자신의 수난까지 떠오른다. 그때 그분은 탄식하며 “아빠, 아버지! 가능하시거든 이 잔을 저에게서 거두어 주십시오!” 하고 기도하시고, 곧바로 아버지의 뜻자신을 내맡기시며그러나 제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의 뜻대로 하소서!” 하고 기도하신다.

묵상:
“지극히 슬프신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겟세마니에서의 고뇌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의 천상 아드님께서 올리브 동산의 굴에서 온 세상의 죄를 보이심 받고, 바치려 하신 희생에서 물러나도록 사탄의 방해를 받으셨나이다. 그때 그분의 영혼은 그 광경 앞에서 오그라들고, 장차 받으실 고문과 죽음, 그리고 당신의 고통, 교회의 미래의 고통, 성체 안에서 겪으실 당신 자신의 수난 때문에 지극히 귀하신 피온몸의 땀구멍마다 흘러내렸나이다. 그리고 그분께서는 탄식하시며, ‘아빠, 아버지! 가능하시거든 이 잔을 저에게서 거두어 주십시오!’ 하고 부르짖으셨고, 곧 아버지의 뜻자신을 내맡기시며, ‘그러나 제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의 뜻대로 하소서!’ 하고 기도하셨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피 붉은 장미들을 하느님의 뜻에 대한 내맡김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고통의 신비 제2단 — 예수님의 매질(鞭打) (The Scourging at the Pillar)

장면 요약: 빌라도의 명령에 따라 예수님께서 옷을 벗기우시고 기둥에 묶이신 뒤, 잔혹한 채찍질머리에서 발끝까지 살점이 찢기시고 몸이 더는 견딜 수 없을 만큼 상하신다.

묵상:
“지극히 슬프신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예수님의 매질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빌라도의 명으로 당신의 천상 아드님께서 옷을 벗기우시고 기둥에 묶이신 뒤, 잔혹한 채찍으로 머리에서 발끝까지 살이 찢기시고, 그 고행하신 몸이 더는 견딜 수 없을 지경이 되었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피 붉은 장미들을 극기(克己)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고통의 신비 제3단 — 가시관을 씌우심 (The Crowning with Thorns)

장면 요약: 군사들이 예수님의 머리에 날카로운 가시관씌우고, 그것을 심히 내리치며 가시가 깊이 박히게 하였다. 그들은 조롱 섞인 경배무릎을 꿇고유다인의 임금 만세!” 하고 외친다.

묵상:
“지극히 슬프신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가시관을 씌우심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군사들이 예수님의 머리 주위에 날카로운 가시관동여매고, 그 위에 연달아 타격을 가하여 가시가 깊이 박히게 하였나이다. 그리고 조롱의 경배그분 앞에 꿇어 절하며, ‘유다인의 임금 만세!’ 하고 외쳤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피 붉은 장미들을 겸손(謙遜)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고통의 신비 제4단 —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심 (The Carrying of the Cross)

장면 요약: 무거운 십자가의 나무를 어깨에 지신 우리 주 예수님께서 연약하고 고통 중이면서도 인내로 거리를 지나 골고타로 끌려가신다. 군병들의 가혹한 매질여러 번 넘어지시며, 군중의 모욕 속을 지나가신다.

묵상:
“지극히 슬프신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십자가를 지심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의 천상 아드님께서 무거운 십자가를 어깨에 지시고, 연약하고 고통 중이되 인내로이, 군중의 모욕 한가운데에서 거리를 끌려가 골고타로 오르셨나이다. 그분께서는 여러 번 넘어지셨고, 형리들의 잔혹한 매질에 떠밀리며 길을 재촉당하셨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피 붉은 장미들을 역경(逆境) 속 인내(忍耐)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고통의 신비 제5단 — 십자가에 못박히심 (The Crucifixion)

장면 요약: 우리 주 예수님께서 옷을 벗기우신 뒤,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헤아릴 수 없는 세 시간의 고통 끝에 운명하신다. 그 시간 동안에 그분은 원수들을 위해 아버지께 용서를 간구하신다.

묵상:
“지극히 슬프신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십자가에 못박히심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의 천상 아드님께서 옷을 벗기우신 뒤,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그 위에서 헤아릴 수 없는 세 시간의 고통을 겪으신 다음 운명하셨나이다. 그 시간 동안 그분은 아버지께, 원수들을 위한 용서간구하셨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피 붉은 장미들을 원수(怨讐)를 사랑하는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적용 메모

  • 덕목 한자 병기: 인내(忍耐), 원수(怨讐)는 첫 출현에만 병기했습니다.
  • ‘장면 요약’은 독자 안내용 보조 문장으로 추가했으며, 묵상 단락은 원문을 충실 번역했습니다.
  • 기도문(주님의 기도·성모송·영광송)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공용문을 Part IV에서 본문으로 일괄 대입합니다.
  • ‘피 붉은 장미(blood‑red roses)’는 고통의 신비를 상징하는 원문 표현입니다(환희=눈같이 흰 봉오리, 영광=황금빛 장미는 후속 세션에서 동일 규칙 적용).
  • 덕목 한자 병기: 겸손(謙遜), 극기(克己)만 병기했습니다. ‘하느님의 뜻에 대한 내맡김’은 관용 한자 표기가 확정적이지 않아 병기하지 않았습니다(지침 B에 따라 검증 불가 한자는 임의 조어 금지).

영광(榮光)의 신비

(Rosary Novenas to Our Lady)


공통 진행 안내(청원/감사 도입 + 시작 기도)

묵주기도 전 기도

  • 성호경: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이어서 성모송 1회.

청원(請願) 도입 — In petition

지극히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시며 저의 어머니 마리아님, 만세! 저는 당신 발치에 무릎을 꿇고, 당신께 장미 화관을 바치오니—황금빛 장미들로 엮었습니다. 이는 당신의 천상 아드님영광(榮光)을 당신께 상기시켜 드리기 위함이오며, 당신께서 그 기쁨과 영화풍성히 나누어 받으셨기 때문입니다. 각 장미는 하나의 거룩한 신비를 당신께 상기시키며, 열 송이는 제가 간절히 구하는 특정 은총(恩寵)을 위한 청원으로 함께 묶여 있나이다.

오, 천상의 모후시며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시는 분, 당신을 부르는 모든 이의 어머니시여! 당신께서 제 예물을 굽어보시면 그 매듭(청원의 끈)을 알아보시리라 믿나이다. 당신께서 제 예물을 받아들이시듯, 저의 청원도 받아들이시어, 당신의 넉넉하신 너그러움으로 제가 그토록 간절하고 신뢰로이 구하는 은혜를 내려 주소서. 저는 당신께 구하는 어떤 것도 낙심하지 않사오니, 저의 어머니이심을 드러내소서!

(이후: 사도신경 → 주님의 기도 → 성모송 3번 → 영광송)

감사(感謝) 도입 — In thanksgiving

지극히 거룩하신 묵주기도의 모후시며 저의 어머니 마리아님, 만세! 저는 당신 발치에 감사로 무릎을 꿇고, 당신께 장미 화관을 바치오니—황금빛 장미들로 엮었습니다. 이는 당신의 천상 아드님영광을 당신께 상기시켜 드리기 위함이며, 당신께서 그 기쁨과 영화풍성히 나누어 받으셨기 때문입니다. 각 장미는 하나의 거룩한 신비를 당신께 상기시키며, 열 송이는 제가 한때 간청하던 특정 은총에 대한 감사로 함께 묶여 있나이다.

오, 천상의 모후시며 하느님의 은총을 베푸시는 분, 당신을 부르는 모든 이의 어머니시여! 당신께서 제 예물을 굽어보시면 그 매듭(감사의 끈)을 알아보시리라 믿나이다. 당신께서 제 예물을 받아들이시듯, 저의 감사도 받아들이소서. 당신의 넉넉하신 너그러움으로 제가 믿음과 신뢰로 구하여 이미 받았던 은혜를 이제 마음 깊이 기억하며 찬미하나이다. 저는 당신께 청한 바를 낙심하지 않고 기다렸고, 당신은 참으로 저의 어머니이심을 보여 주셨나이다.

(이후: 사도신경 → 주님의 기도 → 성모송 3번 → 영광송)


영광의 신비 제1단 — 주님의 부활(復活) (The Resurrection)

장면 요약: 사흗날 아침 무덤이 비어 있고, 영광에 빛나는 예수님께서 영원히 살아 계심을 드러내신다. 천사는 “어찌하여 살아 계신 분을 죽은 이들 가운데서 찾느냐?” 하고 전한다(루가 24장).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주님의 부활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사흗날 이른 아침, 무덤이 비어 있음이 드러났고, 당신의 천상 아드님께서 영광 속에 부활하심으로써 죽음을 깨뜨리고 영원히 살아 계심을 나타내셨나이다. 그분의 승리 안에서 당신의 기쁨이 충만하였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황금빛 장미들을 믿음(信德)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영광의 신비 제2단 — 주님의 승천(昇天) (The Ascension)

장면 요약: 예수님께서 올리브 산에서 제자들의 눈앞에서 하늘로 오르시며, 아버지 오른편에 좌정하신다. 흰 옷을 입은 이들이 “너희가 본 모습 그대로 다시 오신다.”고 알려 준다(사도 1장).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주님의 승천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의 천상 아드님께서 올리브 산에서 하늘로 오르시어, 아버지 오른편에 좌정하셨나이다. 그때 제자들은 하늘의 고향을 그리워하는 거룩한 갈망으로 가슴이 벅차올랐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황금빛 장미들을 희망(希望)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영광의 신비 제3단 — 성령 강림(降臨)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장면 요약: 오순절거룩하신 성령(聖靈)께서 불의 혀처럼 내려오시어 사도들을 가득 채우시고, 교회세상으로 파견된다(사도 2장). 당신은 사도들과 함께 기도 중에 그 자리에 계셨다.

묵상:
“사랑하올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성령 강림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오순절거룩하신 성령께서 불의 혀들처럼 내려오시어 사도들을 가득 채우시고, 당신께서도 그들과 함께 기도 중에 계셨나이다. 그때 교회세상으로 파견되었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황금빛 장미들을 하느님 사랑(愛德)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영광의 신비 제4단 — 성모 승천(昇天) (The Assumption of Our Blessed Mother into Heaven)

장면 요약: 하늘의 아드님과 합일을 갈망하시던 성모(聖母)거룩한 영혼몸을 떠나 그분과 결합되자, 주님께서 그 동정의 몸(그분의 첫 가묘/성전(첫 성체성사의 자리))을 천상에 들어 올리시고, 천사와 성인들 가운데서 영혼을 그 몸에 다시 결합시켜 주셨다.

묵상:
“영광스러운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당신의 승천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하늘에서 당신의 천상 아드님합일(合一)되기를 타는 듯이 갈망하시다가, 당신의 영혼몸을 떠나 그분과 결합되었나이다. 그때 당신의 동정(童貞)의 몸, 곧 그분의 첫 성전이 되었던 그 몸을, 당신의 아드님께서 당신에 대한 지극한 사랑으로 하늘에 들어 올리시고, 천사와 성인들의 환호 속에서 그 몸에 당신의 영혼을 다시 불어넣어 주셨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황금빛 장미들을 그리스도와의 일치(一致)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편집 주해: [쪽 39–41] 표식 보존.


영광의 신비 제5단 — 천상 모후의 대관(戴冠) (The Coronation of Our Blessed Mother in Heaven as Its Queen)

장면 요약: 지상 생애 뒤 하늘로 들려 올라가신 성모님께서, 지극히 존엄한 하늘의 모후삼중의 관을 받으신다—성부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사랑하올 딸로, 성자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지극히 사랑하올 어머니로, 성령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뽑히신 배필대관하셨다. 성모님은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의 가장 완전한 흠숭자로서, 가장 강력하고 자비로우신 어머니로 우리의 사정을 변호해 주신다.

묵상:
“영광스러운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당신의 천상 대관의 신비를 묵상하나이다. 당신께서 지상 생애를 마치신 뒤 하늘로 들어 올려지셨을 때, 성부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사랑하올 딸로, 성자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지극히 사랑하올 어머니로, 성령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뽑히신 배필로 인정하시어, 하늘의 엄위로운 모후삼중(三重)의 관을 씌워 주셨나이다. 당신은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가장 완전한 흠숭자로서, 가장 강력하고 자비로우신 어머니가 되시어 우리의 사정을 변호하여 주시나이다.”

기도 안내:

  • 주님의 기도 1회 → 성모송 10회 → 영광송 1회
  • 결속(結束) 기도: “저는 이 황금빛 장미들을 당신과의 일치(一致)의 덕을 청하는 청원/감사의 끈으로 묶어, 이 꽃다발을 당신 발치에 겸손히 바칩니다

적용 메모

  • 색채 상징: 환희=눈같이 흰 봉오리, 고통=피 붉은 장미, 영광=황금빛 장미로 통일했습니다.
  • 한자 병기: 영광(榮光), 부활(復活), 승천(昇天), 성령(聖靈), 사랑(愛德), 믿음(信德), 희망(希望) 등은 첫 출현에만 병기했습니다.
  • ‘장면 요약’은 독자 안내용 보조 문장으로 추가했으며, 묵상 단락은 원문을 충실 번역하여 담았습니다.

영적 영성체(靈的 領聖體) (SPIRITUAL COMMUNION)

본문(원문 충실 번역):
오, 예수님!
제대의 지극히 거룩하신 성사 안에 참으로 현존하시는 주님,
지금 저는 성사(聖事)의 가림막 아래에서 당신을 모실 수 없기에,
사랑과 갈망으로 가득 찬 마음으로 간절히 비오니,
당신의 지극히 거룩하신 어머니의 티없으신 성심을 통하여
저의 영혼 안에 영적으로 와 주시어
영원토록 저와 함께 머무르소서.
시간 안에서도, 영원 안에서도, 당신 안에 제가 있고
저 안에 당신이 계시옵소서—마리아와 함께.

청원(請願) 형식 — In petition

달디단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이 영적 영성체(靈的 領聖體)를 당신께 봉헌하여
저의 꽃다발화관으로 엮어 당신 이마에 올려 드리나이다.
오, 저의 어머니!
저의 예물을 호의로이 굽어보시고, 당신의 사랑으로 저를 위하여
(여기서 청원을 명시합니다)를 얻어 주소서.
성모송(Hail, Mary).”

감사(感謝) 형식 — In thanksgiving

달디단 어머니 마리아시여,
저는 이 영적 영성체를 당신께 봉헌하여
저의 꽃다발화관으로 엮어 당신 이마에 올려 드리며,
(여기서 받은 은혜를 명시합니다)에 대한 감사를 바치나이다—
이는 당신의 사랑으로 이미 저를 위해 얻어 주신 은혜이옵니다.
성모송(Hail, Mary).”

마침기도(末祈) + 54일 달력형 NOVENA RECORD

(Rosary Novenas to Our Lady — Closing Prayer + Novena Record)

마침기도(Closing Prayer)

기도:

하느님, 외아드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시고, 돌아가시고, 부활하심으로써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의 상급을 마련해 주셨사오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지극히 거룩한 묵주기도의 이 신비를 묵상하며 그 안에 담긴 것을 본받고 그 안에 약속된 것을 얻게 하소서.
성자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쪽 44 표식 보존]

응송:

  • 하느님의 도우심이 언제나 우리와 함께 하소서. 아멘.
  • 또한 세상을 떠난 모든 신자들의 영혼이 하느님의 자비로 평화의 안식을 얻게 하소서. 아멘.
  • 거룩하신 동정 마리아님, 사랑하올 당신 아드님과 함께 오늘(밤) 저희에게 강복을 내려 주소서.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쪽 44–45 표식 보존]

NOVENA RECORD — 54일 진행표

In Petition — 청원(請願) 27일

Day날짜요일모드신비체크
01청원환희(喜)
02청원고통(苦)
03청원영광(榮)
04청원환희(喜)
05청원고통(苦)
06청원영광(榮)
07청원환희(喜)
08청원고통(苦)
09청원영광(榮)
10청원환희(喜)
11청원고통(苦)
12청원영광(榮)
13청원환희(喜)
14청원고통(苦)
15청원영광(榮)
16청원환희(喜)
17청원고통(苦)
18청원영광(榮)
19청원환희(喜)
20청원고통(苦)
21청원영광(榮)
22청원환희(喜)
23청원고통(苦)
24청원영광(榮)
25청원환희(喜)
26청원고통(苦)
27청원영광(榮)

In Thanksgiving — 감사(感謝) 27일

Day날짜요일모드신비체크
28감사환희(喜)
29감사고통(苦)
30감사영광(榮)
31감사환희(喜)
32감사고통(苦)
33감사영광(榮)
34감사환희(喜)
35감사고통(苦)
36감사영광(榮)
37감사환희(喜)
38감사고통(苦)
39감사영광(榮)
40감사환희(喜)
41감사고통(苦)
42감사영광(榮)
43감사환희(喜)
44감사고통(苦)
45감사영광(榮)
46감사환희(喜)
47감사고통(苦)
48감사영광(榮)
49감사환희(喜)
50감사고통(苦)
51감사영광(榮)
52감사환희(喜)
53감사고통(苦)
54감사영광(榮)

J/S/G 순환 리본(요약)

  • Day 01–03: 환희 → 고통 → 영광
  • Day 04–06: 환희 → 고통 → 영광
  • … (54일까지 동일 반복)

지침 적용 메모

  • 기도문 대입 규칙(D): 본 세션의 ‘마침기도’와 응송은 공식 공용문 대입 대상이 아니므로 원문을 충실 번역했습니다. Part IV의 사도신경·주님의 기도·성모송·영광송·천상의 모후 등은 주교회의 공용문을 그대로 수록합니다(다음 세션).
  • 표 조판: 전자판은 위 테이블에 체크 UI를, 인쇄판은 를 사용합니다.

공식 기도문 모음 + 가정 묵주기도 지침 + 묵주기도 하는 법 + 면죄부(INDULGENCES)

(Rosary Novenas to Our Lady — Official Prayers · The Family Rosary · Saying the Rosary · Indulgences)

주의(지침 D): 본 파트의 한국어 기도문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공용문그대로 싣습니다. 

Part IV. 공식 기도문 모음(공용문)

1) 성호경(聖號經) — Sign of the Cross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 사도신경(使徒信經) — Apostles’ Creed

전능하신 천주 성부, 천지의 창조주를 저는 믿나이다.
또한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 마리아께 잉태되어 나시고,
본시오 빌라도 통치 아래서 고난을 받으시고,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시고 묻히셨으며,
저승에 가시어 사흗날에 죽은 이들 가운데서 부활하시고,
하늘에 올라 전능하신 천주 성부 오른편에 앉으시며,
그리로부터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 믿나이다.
성령을 믿으며,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와 모든 성인의 통공을 믿으며,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
영원한 삶을 믿나이다. 아멘.

3) 주님의 기도 — Our Father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4) 성모송(聖母頌) — Hail Mary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5) 영광송(榮光頌) — Glory Be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6) 천상의 모후 — Hail, Holy Queen (Salve Regina)

모후이시며 사랑이 넘친 어머니, 우리의 생명, 기쁨, 희망이시여.
당신 우러러 하와의 그 자손들이 눈물을 흘리며 부르짖나이다, 이 슬픔의 골짜기에서.
우리들의 보호자 성모님, 불쌍한 저희를 인자로운 눈으로 굽어보소서.
귀양살이 끝날 때에 당신의 아들, 우리 주 예수님 뵙게 하소서.
너그러우시고, 자애로우시며, 오 아름다우신 동정 마리아님.
천주의 성모님, 저희를 위하여 빌어 주시어
그리스도께서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소서. 아멘.


The Family Rosary — 가정(家庭) 묵주기도 지침

가정에서 아버지·어머니·자녀가 매일 함께 이 신심을 바치면, 가정 안에 더 큰 화합이 이루어지고 평화와 만족이 증대됩니다. 또한 경건과 영적 성숙을 도와 주며, 하느님의 강복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살핌이 매일 이 기도를 바치는 모든 이 위에 내릴 것입니다.

가정 묵주기도는 간단합니다. 모두가 모이기 좋은 시간대—보통 저녁 식사 후—에 드리고, 가족 구성원이 돌아가며 기도를 이끕니다.

가정 묵주기도 진행(원문 1–5항 준수)

  1. 사도신경: 십자고상을 쥐고, 선창자가 “전능하신…” 하고 시작하면 모두 함께 신경을 바칩니다.
  2. 주님의 기도와 성모송 3·영광송: 큰 알(알맹이)에서 주님의 기도의 앞절을 선창하면, 다른 이들이 뒷절을 응답합니다. 이어 작은 알 에서 성모송의 앞·뒷부분을 나누어 바치고, 영광송으로 맺습니다.
  3. 신비 선언: 선창자가 그날의 다섯 가지 신비(환희/고통/영광)와 제1단 제목을 알립니다.
  4. 각 1단 진행: 큰 알마다 주님의 기도, 작은 알마다 성모송 10번, 끝에 영광송을 바칩니다.
  5. 마침: 마지막 1단을 마친 뒤 천상의 모후로 마칩니다.

Saying the Rosary — 묵주기도 하는 법(요약)

  1. 성호경 → 2) 사도신경 → 3) 큰 알: 주님의 기도 → 4) 작은 알 3개: 성모송 3번 → 5) 영광송 → 6) 제1신비 묵상 선포 → 7) (각 1단마다) 주님의 기도 1·성모송 10·영광송 1 → 8) 5단을 마치고 천상의 모후로 마침.

편집 주해: 원문 말미의 삽화(“Saying the Rosary”)는 위 순서를 시각적으로 설명합니다. 전자판에서는 단추식 안내(체크/앵커)로 구현, 인쇄판에서는 도식으로 제시.


INDULGENCES FOR FIVE DECADES — 면죄부 안내(5단)

전대사(全大赦): 하루 한 번, 성당이나 공소에서 묵주기도 5단을 바치거나, 가정·수도공동체·신심단체에서 함께 바칠 때, 통상 조건(고해·영성체·교황 성하 기도 지향)을 갖추면 얻을 수 있습니다.

부분 대사: 위 경우 외의 상황에서 묵주기도를 바칠 때, 하루에도 여러 번 받을 수 있습니다.

Raccolta, No. 48.

역사 주해: 본 규정은 과거 판(‘Raccolta’ 수록) 기준 안내입니다. 현행 면죄부 규범은 교황청의 최신 면죄부편람(Enchiridion Indulgentiarum)을 따르므로, 실제 사목 적용 시 현지 교구 지침을 확인하십시오.

부록(Appendices A–D)

본 부록은 한국어판 편집 지침에 따른 용어 대조표, 고유명사 병기 일람, 한자 색인, 편집·교열 주해로 구성됩니다.


Appendix A. 용어 대조표(영문→한국어·한자 병기)

원칙: 한자(漢字)는 첫 출현에만 병기. 한국 가톨릭 공용 용례를 기준으로 표준화. 검증 불가 항목은 임의 조어 금지(라틴/영문 병기로 대체).

ENKO 표준漢字(첫 출현)주해/비고
Rosary묵주기도(한자 임의 조합 금지, Rosary 병기)전편 공통 용례
Novena노베나54일 청원·감사 구조
petition청원請願모드 표기(27일)
thanksgiving감사感謝모드 표기(27일)
(the) Mysteries(묵주기도의) 신비환희/고통/영광 3종
Joyful환희歡喜신비 순환 J
Sorrowful고통苦痛신비 순환 S
Glorious영광榮光신비 순환 G
grace은총恩寵기도문·묵상 전반
virtue덕(덕행)德 / 德行문맥 따라 선택
humility겸손謙遜결속 덕목(가시관)
mortification극기克己결속 덕목(매질)
patience인내忍耐결속 덕목(십자가 지심)
purity (chastity)정결貞潔결속 덕목(봉헌)
obedience순명順命결속 덕목(수태고지/찾으심)
detachment탈속脫俗결속 덕목(성탄)
love of enemies원수 사랑怨讐…표현상 ‘원수(怨讐)를 사랑’으로 표기
faith믿음(신덕)信德결속 덕목(부활)
hope희망希望결속 덕목(승천)
charity사랑(애덕)愛德결속 덕목(성령 강림)
union with Christ그리스도와의 일치一致결속 덕목(승천/대관)
Holy Spirit성령聖靈고유명
Blessed Virgin Mary복되신 동정 마리아(성모)聖母 (동정: 童貞)고유명
Holy Eucharist성체聖體‘성체 안에서’ 용례
Spiritual Communion영적 영성체靈的 領聖體전용 문안 수록
Hail, Holy Queen천상의 모후공용 기도문 대입
Apostles’ Creed사도신경使徒信經공용 기도문 대입
Our Father주님의 기도主祈文공용 기도문 대입
Hail Mary성모송聖母頌공용 기도문 대입
Glory Be영광송榮光頌공용 기도문 대입

Appendix B. 성인·지명·고유명사 병기 일람

원칙: 한국 가톨릭 관례명이 확립된 경우에만 한자 병기. 불확실 시 라틴/영문 병기로 대체.

B-1. 인명(성인·성경 인물)

KO 관례명漢字(확립)라틴어/영문 병기비고
베드로伯多祿Petrus (Peter)확립
바오로保祿Paulus (Paul)확립
요한若望Ioannes (John)확립
요셉若瑟Ioseph (Joseph)확립
마리아瑪利亞Maria확립
가브리엘(병기 보류)Gabriel (Archangel)한국 관례 한자 미확정
시메온(병기 보류)Simeon한자 표준 미확정
성 도미니코(병기 보류)S. Dominicus (St. Dominic)한국 관례 한자 미확정
성녀 가타리나(시엔나)(병기 보류)S. Catharina Senensis라틴 병기 우선

B-2. 지명·장소

KO 표기漢字(확립)라틴어/영문 병기비고
베들레헴(병기 보류)Bethlehem한자 표준 미확정(국내 관례 불균일)
예루살렘(병기 보류)Jerusalem상동
골고타(병기 보류)Golgotha상동
올리브 산(감람산)(병기 보류)Mount of Olives상동
나폴리Napoli (Naples)현대 지명, 한자 병기 불필요

주: 위 표는 보수적 기준을 적용하여 임의 한자 조어를 전면 금지했습니다. 향후 사료 근거 확보 시만 업데이트합니다.


Appendix C. 한자 색인(본문 전 범위)

본문에 첫 출현 기준으로 병기된 한자의 **색인(가나다·부수 무관 단일 가나다 정렬)**입니다. 페이지/세션 정보는 한국어판 편집 기준.

  • 愛德 (사랑) — S6
  • 一致 (일치) — S7
  • 仁(無) → 본편 미사용
  • 休(無) → 본편 미사용
  • 兇(無) → 본편 미사용
  • 倒(無) → 본편 미사용
  • 充(無) → 본편 미사용
  • 克己 (극기) — S4
  • 信德 (믿음/신덕) — S6
  • 儉(無) → 본편 미사용
  • 再(無) → 본편 미사용
  • 凡(無) → 본편 미사용
  • 刻(無) → 본편 미사용
  • 力(無) → 본편 미사용
  • 勇(無) → 본편 미사용
  • 勤(無) → 본편 미사용
  • 包(無) → 본편 미사용
  • 匠(無) → 본편 미사용
  • 千(無) → 본편 미사용
  • 協(無) → 본편 미사용
  • 厚(無) → 본편 미사용
  • 去(無) → 본편 미사용
  • 合一(=一致) → 표준화: 一致 사용
  • 受難 (수난) — S4
  • 又(無) → 본편 미사용
  • 善(無) → 본편 미사용
  • 喜(歡喜) — 표제용 복합자, 환희 — S2
  • 困(無) → 본편 미사용
  • 均(無) → 본편 미사용
  • 士(無) → 본편 미사용
  • 大(無) → 본편 미사용
  • 天(無) → 본편 미사용
  • 安(無) → 본편 미사용
  • 容(無) → 본편 미사용
  • 寧(無) → 본편 미사용
  • 寵(恩寵) — 복합자 표기 — S1
  • 尊(無) → 본편 미사용
  • 己(克己) — S4
  • 希望 (희망) — S6
  • 恩寵 (은총) — S1
  • 患(無) → 본편 미사용
  • 悲(無) → 본편 미사용
  • 惡(無) → 본편 미사용
  • 慈(無) → 본편 미사용
  • 慎(無) → 본편 미사용
  • 成(無) → 본편 미사용
  • 戒(誡命) — 본문 미수록, 용어지침에 남김
  • 承(無) → 본편 미사용
  • 技(無) → 본편 미사용
  • 持(無) → 본편 미사용
  • 捨(無) → 본편 미사용
  • 改(無) → 본편 미사용
  • 敬(無) → 본편 미사용
  • 斷(無) → 본편 미사용
  • 旅(無) → 본편 미사용
  • 於(無) → 본편 미사용
  • 昇天 (승천) — S6
  • 會(無) → 본편 미사용
  • 望(希望) — S6
  • 服(無) → 본편 미사용
  • 施(無) → 본편 미사용
  • 時(無) → 본편 미사용
  • 朗(無) → 본편 미사용
  • 未(無) → 본편 미사용
  • 果(無) → 본편 미사용
  • 柔(無) → 본편 미사용
  • 檢(無) → 본편 미사용
  • 歡喜 (환희) — S2
  • 殉(無) → 본편 미사용
  • 氣(無) → 본편 미사용
  • 水(無) → 본편 미사용
  • 治(無) → 본편 미사용
  • 泥(無) → 본편 미사용
  • 浄(淨) → 표준: 貞潔·清潔과 구분
  • 清潔(無) → 본편 미사용
  • 淨(貞潔과 구분) — 표준: 貞潔 사용 — S3
  • 為(無) → 본편 미사용
  • 無(無) → 본편 미사용
  • 狂(無) → 본편 미사용
  • 珍(無) → 본편 미사용
  • 玄(無) → 본편 미사용
  • 生活(無) → 본편 미사용
  • 生(無) → 본편 미사용
  • 甦(無) → 본편 미사용
  • 田(無) → 본편 미사용
  • 甚(無) → 본편 미사용
  • 神心(신심) — S1
  • 神(無) → 본편 미사용
  • 祈(無) → 본편 미사용
  • 祈禱(기도) — 본문 공용문으로 대체
  • 聖母 (성모) — S1
  • 聖體 (성체) — S4
  • 聖靈 (성령) — S6
  • 胞(無) → 본편 미사용
  • 致(無) → 본편 미사용
  • 與(無) → 본편 미사용
  • 苦痛 (고통) — S4
  • 膽(無) → 본편 미사용
  • 脫俗 (탈속) — S2
  • 自(無) → 본편 미사용
  • 至(無) → 본편 미사용
  • 興(無) → 본편 미사용
  • 血(無) → 본편 미사용
  • 親(無) → 본편 미사용
  • 訓(無) → 본편 미사용
  • 試(無) → 본편 미사용
  • 誡(誡命) — 본문 미수록, 지침 보존
  • 護(無) → 본편 미사용
  • 變(無) → 본편 미사용
  • 貞潔 (정결) — S3
  • 賞(無) → 본편 미사용
  • 贖(無) → 본편 미사용
  • 轉求 (전구) — 본문 출현 시 첫 병기 원칙
  • 進(無) → 본편 미사용
  • 迴(無) → 본편 미사용
  • 遠(無) → 본편 미사용
  • 邪(無) → 본편 미사용
  • 部(無) → 본편 미사용
  • 里(無) → 본편 미사용
  • 野(無) → 본편 미사용
  • 霸(無) → 본편 미사용
  • 靈的 (영적) — S7
  • 領聖體 (영성체) — S7

주: 본 색인은 한국어판에서 실제 병기된 항목을 기준으로 하며, 미사용 표기는 향후 확장 대비를 위한 보류 표제입니다.


Appendix D. 편집·교열 메모(판본 차이/역사적 주해)

D-1. 판본·서지

  • 저작·판권: Benziger Brothers, 1926·1954판 병기. Nihil Obstat / Imprimatur 표기 보존(서지 항목 참조).
  • 편집 방침: 원문 무삭제·무축약 충실 번역. OCR 잡음 교정 외 의미 삭제 없음. 이탤릭·스몰캡 등은 한국어 조판에서 가능 범위 내 반영.

D-2. ‘사적 계시’에 관한 주의(우르바노 8세 교령 준수)

  • 본서에 서술된 기적·발현 관련 기술은 사적 계시의 범주로, 인간적 증언 수준의 권위만을 청구함. 교도권의 신앙 의무를 부과하지 않음.

D-3. 면죄부 규정의 역사적 표기

  • 본문 INDULGENCES는 ‘Raccolta No. 48’ 기준의 역사적 안내를 보존. 실제 사목 적용은 현행 면죄부편람(Enchiridion Indulgentiarum)현지 교구 지침을 따름.

D-4. 영적 영성체 문안

  • 한국 교회에 복수 통용본이 있으므로, 본서는 원문 충실 번역본을 본문에 수록하고, 통용본과의 차이는 각주로 설명.

부록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