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기초 교리 테스트 번째 단계“예수 그리스도 구원 신비” (§422–682 )이 문제는 『프란치스코 다이어리』에서 자체 제작한 교리 학습 자료로,교회 기관의 공식 인준이나 검수를 거친 문서는 아닙니다.교리적 표현이나 내용에 있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관련 근거와 함께 알려주시면 자료의 정확성과 유익성을 높이는 데 소중한 참고로 삼겠습니다.본 문제집은 가톨릭 통신 교재의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혼자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동일한 12단계 구조로 구성하였습니다. 3. 예수 그리스도 구원 신비 이 퀴즈는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퀴즈 시작 3. 예수 그리스도 구원 신비 문제 1 / 10 1 예수님의 순명은 무엇을 통해 드러나는가? 세리들과 식사하심 율법을 버리심 죽기까지 아버지 뜻에 복종하심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심 해설 예수님의 순명은 아버지 뜻에 따라 십자가의 죽음까지 복종하심으로 드러난다 (§606–618) 2 그리스도의 재림과 관련한 교회의 믿음은? 상징적인 의미일 뿐 이미 역사 속에서 완전히 성취됨 영광 중에 다시 오실 것을 기다림 사람이 신성을 얻는 사건 해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영광 중에 다시 오실 것임을 믿고 기다린다 (§668–682) 3 그리스도의 공생활은 주로 무엇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가? 병자 치유와 기적 선보이기 하느님 나라의 선포와 회개의 요청 사도단의 조직과 유대율법 준수 강조 당시 종교 지도자들과의 논쟁 해설 예수님의 공생활은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고 회개를 촉구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541–550) 4 ‘그리스도’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칭호인가? 왕 혹은 사제에게 주어지는 기름 부음 받은 자 하느님의 이름 자체 죄를 없애는 사람 교회의 머리 해설 ‘그리스도’는 히브리어 메시아를 번역한 말로 ‘기름을 바른 사람’을 의미하며, 예수님은 왕·사제·예언자로서 오신 분이다 (§436‑440) 5 예수님께서 '종의 모습'을 취하셨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신성을 버리셨음을 뜻함 율법에 복종하셨음을 뜻함 인간의 고통을 멀리하셨음을 의미 죽기까지 순종하신 희생의 자세 해설 예수님은 하느님이시면서도 종의 모습으로 자신을 낮추시고 죽기까지 순종하신 겸손의 모범을 보여 주셨다 (§608, §622–623) 6 그리스도께서 유혹을 받으신 사실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예수님도 죄를 지을 수 있음을 보여 줌 인간과의 동일시, 죄를 이기신 승리의 모범 하느님께서 시험을 당하신 모순 인간적 약점의 결과 해설 예수님은 유혹을 받으심으로써 인간의 연약함을 체험하시되 죄 없이 이기심으로 우리의 모범이 되셨다 (§538–540) 7 십자가에서 예수님이 이루신 구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람들을 가르치려 오신 사건 인간과 하느님 사이의 평화를 위한 인간의 노력 하느님의 생명법을 보여 주심 죄를 대속하신 몸값을 치르신 희생 해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은 우리의 죄에 대한 몸값을 치르셨고, 그 피로 인간이 하느님과 화해하게 된 구원 사건이다 (§571‑630) 8 강생의 신비가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인 이유는? 하느님이 사람이 되셨다는 고유한 믿음 때문 다른 종교들도 신이 인간으로 오신다고 믿기 때문 예언자들이 대신 인간으로 행동했기 때문 교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해설 그리스도교의 믿음의 핵심은 “하느님께서 사람이 되셨다”는 강생의 신비이며, 이는 다른 종교와 차별화된다 (§456‑463) 9 예수님의 강생과 십자가의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태도는? 율법 중심 사고 은총 없는 자력 구원 강조 겸손과 믿음을 통한 수용 이성에 의한 분석 해설 하느님의 구원 계획은 인간의 이성만으로 파악될 수 없으며, 겸손과 믿음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456–478) 10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의 존재 방식은? 살아 있을 당시 그대로의 인간 모습 유지 신비로운 상태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함 육신 없는 영으로 존재함 완전히 하느님 안으로 흡수됨 해설 부활하신 그리스도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신비로운 상태로 존재하신다 (§645–646) 정답확인 다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