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기초 교리 테스트 일곱번째 단계“양심·도덕 원리·십계 전부” (§1691-1876 + 2083-2557 )이 문제는 『프란치스코 다이어리』에서 자체 제작한 교리 학습 자료로,교회 기관의 공식 인준이나 검수를 거친 문서는 아닙니다.교리적 표현이나 내용에 있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관련 근거와 함께 알려주시면 자료의 정확성과 유익성을 높이는 데 소중한 참고로 삼겠습니다.본 문제집은 가톨릭 통신 교재의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혼자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동일한 12단계 구조로 구성하였습니다. 7. 양심 · 도덕 원리 · 십계 전부 이 퀴즈는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퀴즈 시작 7. 양심 · 도덕 원리 · 십계 전부 문제 1 / 10 1 제5계명이 금지하는 행위로 포함되지 않는 것은? 자살 고의적 낙태 인간 존엄에 대한 고의적 모욕 재산상의 손해 해설 제5계명은 인간 생명과 존엄을 지키며, 재산상의 손해는 제7계명과 관련된다. (§2258–2279) 2 ‘모든 진리는 말해야 한다’는 명제에 대한 교리의 입장은? 절대적 진리를 항상 말해야 한다. 모든 정보는 공개되어야 한다. 진실은 이웃의 유익과 자비를 고려해 말해야 한다. 침묵은 언제나 죄다. 해설 진실을 말하는 것도 정의와 사랑의 덕 안에서 판단되어야 한다. (§2488–2492) 3 ‘너는 도둑질하지 마라’ 계명은 어떤 사회 교리와 연결되는가? 사유 재산의 폐지 사회주의 경제 체계 보편 목적에 부합한 재화 사용과 분배 무소유 삶의 강요 해설 제7계명은 재화를 정의롭게 분배하고 공공선에 부합되도록 사용할 책임을 포함한다. (§2402–2406) 4 기본 덕목 중 인간 덕의 기초가 되는 네 가지는 무엇인가? 사랑, 믿음, 소망, 경외 지혜, 자비, 인내, 관용 신의, 용기, 기도, 정결 신중, 정의, 용기, 절제 해설 인간의 기본 덕목은 ‘추덕’이라 불리며, 신중, 정의, 용기, 절제이다. (§1805–1809) 5 도둑질을 금하는 제7계명이 보호하려는 것은? 사유재산의 절대권 국가의 법질서 타인의 정당한 소유와 사회적 정의 교회의 재산 유지 해설 제7계명은 타인의 소유권과 재화의 공정한 분배를 보호한다. (§2401–2406) 6 기독교 덕행 생활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회적 존경을 얻기 위함 법률적 정의를 지키기 위함 하느님 안에서의 행복에 이르기 위함 종교적 습관 형성을 위함 해설 도덕 생활은 인간을 하느님 안에서의 참된 행복, 곧 영원한 생명으로 인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1700–1703) 7 탐욕과 소유욕에 대한 계명은 몇 번째인가? 제6계명 제8계명 제9계명 제10계명 해설 제10계명은 타인의 재산에 대한 부당한 욕망과 탐욕을 금지한다. (§2534–2540) 8 ‘주일을 거룩히 지내라’는 계명의 주요 의미는? 일요일에 노동을 많이 하는 것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것 주일에 미사에 참여하고 하느님께 예배하는 것 교회 봉사에만 집중하는 것 해설 제3계명은 주일을 거룩히 지내며 예배와 미사 참여를 강조한다. (§2168–2188) 9 자유와 책임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자유는 책임을 제거해 준다. 책임은 자유와 무관하다. 자유는 도덕적 책임을 전제로 한다. 자유는 규칙을 초월하는 상태이다. 해설 인간의 자유는 도덕적 선택을 수반하며, 이에 따라 책임이 따른다. (§1731–1738) 10 죄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실수나 사고로 인한 결과 하느님과 단절을 일으키는 의식적 행위 사회의 기준에 반하는 행동 문화적 규범을 무시한 행위 해설 죄는 하느님의 법에 대한 의식적이고 자유로운 위반이며, 그분과의 관계를 단절시킨다. (§1849–1850) 정답확인 다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