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 총론·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가톨릭 기초 교리 테스트 일곱번째 단계“전례 총론·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1066-1209 + 1667-1690 + 2558-2865 )이 문제는 『프란치스코 다이어리』에서 자체 제작한 교리 학습 자료로,교회 기관의 공식 인준이나 검수를 거친 문서는 아닙니다.교리적 표현이나 내용에 있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관련 근거와 함께 알려주시면 자료의 정확성과 유익성을 높이는 데 소중한 참고로 삼겠습니다.본 문제집은 가톨릭 통신 교재의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혼자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동일한 12단계 구조로 구성하였습니다. 9. 전례 총론 · 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이 퀴즈는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퀴즈 시작 9. 전례 총론 · 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문제 1 / 10 1 가톨릭 전례력에서 ‘주일’의 의미로 바른 것은? 주중 휴식일 예수님의 죽음을 기념하는 날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며, 모든 축일의 기초가 되는 날 성령 강림을 기리는 날 해설 주일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주간의 중심일이며, 모든 축일의 기초이다. (§1166–1167) 2 ‘성인 호칭 기도’와 같은 준성사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죄의 사면 세례의 은총 사물의 축성과 사람의 성화 성체 성사의 거행 해설 준성사는 성사의 모범을 따라 신자 생활의 다양한 상황을 축복하고 성화한다. (§1667–1673) 3 ‘관상 기도’는 다음 중 무엇에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는가? 문자 반복 하느님과의 침묵 안의 친밀한 일치 복잡한 신학 사유 과정 감정 표현의 방출 해설 관상은 하느님께 마음을 고요히 열고 그분 안에 머무는 사랑의 친교이다. (§2709–2719) 4 가톨릭 기도의 주요 원천은 무엇인가? 성인들의 체험담 개인의 영적 감정 성경과 전례 신비주의적 직관 해설 성경과 전례는 교회의 기도 생활의 근본이며, 성령 안에서 이루어진다. (§2650–2651) 5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라는 기도의 의미는? 하느님의 계획을 기다리는 기도 운명에 대한 체념 하느님의 뜻에 대한 순명과 실천의 청원 세상 질서의 회복 요청 해설 이 기도는 하느님의 뜻이 우리 삶과 세상 안에서도 실현되기를 청하는 순명의 표현이다. (§2822–2827) 6 성사는 그 자체로 은총을 베푼다고 할 때, 이는 어떤 표현에 해당하는가? 성인의 중재 전례적 상징 외적 행위의 모방 표징이 효과를 낳는다는 ‘효력 있는 표징’ 해설 성사는 그 자체로 은총을 베푸는 ‘효력 있는 표징’(ex opere operato)이다. (§1131) 7 기도의 여러 형태 중 ‘감사 기도’의 본질은? 바라는 것을 요청하는 기도 과거의 죄를 참회하는 기도 하느님의 선하심에 응답하며 드리는 기도 하느님께 순종을 맹세하는 기도 해설 감사 기도는 하느님께 받은 선물에 대한 응답으로 드리는 기도이다. (§2637–2638) 8 ‘묵상 기도’의 본질은? 무념무상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 자기 암시와 집중 훈련 하느님의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응답하는 대화 주관적 해석을 통한 이성적 탐구 해설 묵상은 하느님의 말씀을 깊이 되새기며 인격적으로 응답하는 기도이다. (§2705–2708) 9 기도에 있어서 ‘전구(중재기도)’란 무엇인가? 자신의 필요를 말하는 기도 하느님의 뜻을 강요하는 기도 다른 사람을 위하여 드리는 간청 죄를 보속하는 고해 행위 해설 전구는 다른 사람의 필요를 위해 드리는 기도로, 사랑의 표현이며 교회의 기도 전통의 일부이다. (§2634–2636) 10 전례 거행의 대상과 중심은 누구인가? 신자 공동체의 정서적 필요 개인의 내면 상태 성삼위 하느님 교회의 지도자 해설 전례는 성부께 향하며, 성자 안에서 성령의 힘으로 거행된다. (§1077–1083) 정답확인 다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