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기초 교리 테스트 일곱번째 단계“성사 ① 세례·견진·성체” (§1210-1419 )이 문제는 『프란치스코 다이어리』에서 자체 제작한 교리 학습 자료로,교회 기관의 공식 인준이나 검수를 거친 문서는 아닙니다.교리적 표현이나 내용에 있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관련 근거와 함께 알려주시면 자료의 정확성과 유익성을 높이는 데 소중한 참고로 삼겠습니다.본 문제집은 가톨릭 통신 교재의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혼자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동일한 12단계 구조로 구성하였습니다. 10. 성사① – 세례 · 견진 · 성체 이 퀴즈는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퀴즈 시작 10. 성사① – 세례 · 견진 · 성체 문제 1 / 10 1 견진 성사를 받을 자격 요건 중 하나는? 최소한의 성경 지식이 있을 것 세례를 이미 받았을 것 사제 서품을 받은 사람일 것 적극적 전교 활동을 할 것 해설 견진은 세례 받은 이만이 받을 수 있으며, 자유로운 의지와 준비가 필요하다. (§1306–1311) 2 미사에 사용되는 빵과 포도주의 본질 요소는? 언덕 위 포도나무 열매 음료 가능한 모든 액체 밀가루로 만든 빵과 포도열매 밀 떡과 발효된 포도주 해설 성찬례에 필수인 것은 밀로 만든 빵(무교병 또는 발효빵)과 포도주여야 한다. (§1412) :contentReference[oaicite:8]{index=8} 3 세례의 본질적 외형 요소가 아닌 것은? 물세례(물 붓기 또는 침수) 성부·성자·성령의 이름으로 서약 성호를 긋는 행위 신앙 고백 해설 세례의 본질적 외형은 물세례와 삼위일체 이름, 신앙고백이며, 성호 긋기는 부가적 표시이다. (§1229–1245)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4 ‘실체 변화’(transubstantiatio)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신자의 마음이 변화됨 미사의 상징적 구조 빵과 포도주의 본질이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함 전례 문구의 반복 해설 성체 성사의 핵심 교리는 ‘실체변화’로,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는 것이다. (§1376) 5 성체성사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은? 성체는 교회 구성과 무관하다. 성체는 교회의 삶의 원천이자 정점이다. 성체는 사적인 신심 행위이다. 성체는 전통 유지 목적이다. 해설 성체는 교회 존재의 중심이며, 교회의 삶과 사명의 원천이자 정점이다. (§1324–1327) 6 견진 성사의 핵심 은총은 무엇인가? 죄를 용서받는다. 교회 봉사자가 된다. 성령의 은총으로 신앙 안에서 성숙함을 받는다. 미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해설 견진은 세례 은총을 완성하며, 성령의 힘으로 신앙 생활에 충실하게 한다. (§1285–1289) 7 세례는 그리스도와 어떻게 연결시키는가?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그리스도의 교리를 배우게 한다.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실제로 참여하게 한다. 그리스도의 말씀을 상징적으로 되새긴다. 해설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죽음에 동참하고, 부활의 새 생명에 참여하게 된다. (§1214–1216) 8 어린이 세례의 근거로 교회가 제시하는 원리는? 세례는 선택적이므로 성인이 된 후에만 가능하다. 신앙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기 위해 지연해야 한다. 하느님의 은총은 인간의 선행을 앞선다는 믿음 부모의 종교를 강요하는 방식이다. 해설 어린이 세례는 하느님의 은총이 먼저 주어지는 선물이며, 부모와 교회의 신앙 안에서 자라도록 한다. (§1250–1252) 9 성체 안에서 그리스도께서 어떻게 현존하시는가? 영적 방식으로만 본질적·실체적·무엇보다 완전하게 대상화된 상징으로만 의미상 언급되지만 실질은 아니다 해설 그리스도는 그분의 몸·피·영혼·신성 전체로 실체적 방식으로 현존하신다. (§1373–1375) :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 10 성체는 왜 '교회의 중심이자 정점'으로 불리는가? 교회의 전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교회의 일상적 습관이다. 성체 안에서 교회의 존재와 사명이 완성되고 표현되기 때문이다. 가장 자주 나눠지기 때문이다. 해설 성체는 교회의 삶과 사명의 원천이자 정점으로 나타난다. (§1324–1327) :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 정답확인 다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