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기초 교리 테스트 일곱번째 단계“성사 ② 성품·혼인” (§1533-1666 )이 문제는 『프란치스코 다이어리』에서 자체 제작한 교리 학습 자료로,교회 기관의 공식 인준이나 검수를 거친 문서는 아닙니다.교리적 표현이나 내용에 있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관련 근거와 함께 알려주시면 자료의 정확성과 유익성을 높이는 데 소중한 참고로 삼겠습니다.본 문제집은 가톨릭 통신 교재의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혼자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동일한 12단계 구조로 구성하였습니다. 11. 성사② – 성품 · 혼인 이 퀴즈는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퀴즈 시작 11. 성사② – 성품 · 혼인 문제 1 / 10 1 성품 성사가 ‘봉사 직무를 위한 성사’라 불리는 이유는? 사제직은 지위 상승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성품은 개인 성화를 위한 것이다. 성품은 하느님 백성을 위한 봉사 직무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성품은 모든 신자의 일반 사제직을 무효화한다. 해설 성품은 공동체를 위한 봉사 직무로, 성령 안에서 위임된 역할이다. (§1534–1536) 2 가톨릭 교리에서 ‘가정 교회’의 의미는? 주일학교의 별칭 신자 가족의 별칭 가정이 교회처럼 믿음과 사랑의 공동체라는 의미 교회와 유사한 운영체계 해설 부부와 자녀는 신앙 안에서 서로를 성화하며, 가정은 작은 교회가 된다. (§1655–1657) 3 성품 성사에서 '인호(표지)'가 의미하는 것은? 사제의 의무 기간 반복 가능성 지워지지 않는 영적 표지로 영원한 변화 외적 직무 순번 해설 성품은 지워지지 않는 인호를 남기며, 영원한 직무적 변화가 따른다. (§1582–1584) 4 혼인 예비 절차로 요구되는 것은? 교구의 재정 보고 사전 상담과 주례자에게 서면 동의 공개 강좌 참석 당사자 간의 자유 서약과 교회의 인준 해설 혼인은 당사자의 자유로운 서약과 교회의 인준 아래 이루어져야 성사로 유효하다. (§1625–1632) 5 혼인의 주례 사제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성사의 유효성을 부여한다. 성사를 대신 집전한다. 교회의 이름으로 증언하고 축복한다. 혼인의 법적 효력을 판단한다. 해설 사제는 혼인 당사자의 서약을 교회 이름으로 증언하며 축복한다. (§1630–1631) 6 성품 성사의 3등급에 속하지 않는 것은? 부제 사제 주교 수도자 해설 성품 성사는 부제, 사제, 주교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 수도자는 성품 성사에 포함되지 않는다. (§1554) 7 혼인의 목적 중 포함되지 않는 것은? 부부의 상호 선익 자녀의 출산과 양육 세속적 안정성 추구 가정 교회의 형성 해설 혼인의 목적은 부부의 유대, 생명의 열매로서 자녀, 가정 교회로서의 사명이다. (§1652–1654) 8 혼인이 성사로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은? 공공장소에서 열릴 것 교회에서 발표될 것 교회 앞에서 자유로운 서약으로 이루어질 것 사제의 축복이 있을 것 해설 성사는 교회 앞에서 자유롭게 표현된 당사자의 서약으로 이루어진다. (§1625–1632) 9 혼인의 ‘개방성’ 속성에서 ‘생명에 열려 있음’이 의미하는 것은? 친척의 의견을 반영함 가족 계획의 권리를 포함함 자녀의 출산 가능성을 항상 수용 배우자의 동의가 필수임 해설 혼인은 생명의 열림을 포함해야 하며, 자녀를 받아들이려는 개방성을 요구한다. (§1643–1644) 10 가톨릭 교회에서 혼인이 성사로 간주되는 이유는? 교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법적 계약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와 교회의 일치를 나타내는 성사적 표징이기 때문이다. 종교 예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해설 혼인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사랑의 계약을 드러내는 성사이다. (§1601–1603) 정답확인 다시 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