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 총론·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가톨릭 기초 교리 테스트 일곱번째 단계“전례 총론·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1066-1209 + 1667-1690 + 2558-2865 )이 문제는 『프란치스코 다이어리』에서 자체 제작한 교리 학습 자료로,교회 기관의 공식 인준이나 검수를 거친 문서는 아닙니다.교리적 표현이나 내용에 있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관련 근거와 함께 알려주시면 자료의 정확성과 유익성을 높이는 데 소중한 참고로 삼겠습니다.본 문제집은 가톨릭 통신 교재의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혼자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동일한 12단계 구조로 구성하였습니다. 9. 전례 총론 · 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이 퀴즈는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퀴즈 시작 9. 전례 총론 · 기도 총론 & 주님의 기도 문제 1 / 10 1 전례 거행의 대상과 중심은 누구인가? 신자 공동체의 정서적 필요 개인의 내면 상태 성삼위 하느님 교회의 지도자 해설 전례는 성부께 향하며, 성자 안에서 성령의 힘으로 거행된다. (§1077–1083) 2 기도의 여러 형태 중 ‘감사 기도’의 본질은? 바라는 것을 요청하는 기도 과거의 죄를 참회하는 기도 하느님의 선하심에 응답하며 드리는 기도 하느님께 순종을 맹세하는 기도 해설 감사 기도는 하느님께 받은 선물에 대한 응답으로 드리는 기도이다. (§2637–2638) 3 ‘성사의 필요성’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은? 신앙만으로 충분하며 성사는 부차적이다. 성사는 구원의 상징일 뿐 실제 은총과 무관하다. 성사는 구원의 수단이며,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것이다. 성사는 전례적 형식이므로 자유롭게 생략 가능하다. 해설 성사는 구원의 수단이며,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은총의 통로이다. (§1127–1129) 4 성사는 그 자체로 은총을 베푼다고 할 때, 이는 어떤 표현에 해당하는가? 성인의 중재 전례적 상징 외적 행위의 모방 표징이 효과를 낳는다는 ‘효력 있는 표징’ 해설 성사는 그 자체로 은총을 베푸는 ‘효력 있는 표징’(ex opere operato)이다. (§1131) 5 기도에 있어서 ‘전구(중재기도)’란 무엇인가? 자신의 필요를 말하는 기도 하느님의 뜻을 강요하는 기도 다른 사람을 위하여 드리는 간청 죄를 보속하는 고해 행위 해설 전구는 다른 사람의 필요를 위해 드리는 기도로, 사랑의 표현이며 교회의 기도 전통의 일부이다. (§2634–2636) 6 ‘성사 경제’라는 표현이 의미하는 바는? 성사 집행의 비용과 관련된 운영 체계 성직자의 재정 활동 교회가 구원을 분배하는 하느님의 계획과 방식 전례 예산 편성과 사용 해설 ‘성사 경제’는 하느님께서 성사를 통해 구원의 은총을 분배하시는 구원의 경륜을 말한다. (§1076) 7 가톨릭 기도의 주요 원천은 무엇인가? 성인들의 체험담 개인의 영적 감정 성경과 전례 신비주의적 직관 해설 성경과 전례는 교회의 기도 생활의 근본이며, 성령 안에서 이루어진다. (§2650–2651) 8 가톨릭 전례에서 ‘기억(아남네시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과거 사건을 상징적으로 상기함 그리스도의 구원 행위가 현재에 현존하는 것 역사적 사실을 교육하는 것 성인들의 업적을 기억하는 것 해설 전례의 기억은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구원 행위가 성령 안에서 현재화되는 것이다. (§1103) 9 전례 안에서 성령의 역할로 옳은 것은? 신자들의 자발성만 촉진한다. 상징을 해석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스도의 사역을 현재에 실현하고 공동체를 성화시킨다. 전례를 주관하는 성직자의 감동을 돕는다. 해설 성령은 전례 안에서 말씀을 깨닫게 하고, 그리스도의 구원을 현재화하며 공동체를 성화시킨다. (§1104–1112) 10 ‘묵상 기도’의 본질은? 무념무상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 자기 암시와 집중 훈련 하느님의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응답하는 대화 주관적 해석을 통한 이성적 탐구 해설 묵상은 하느님의 말씀을 깊이 되새기며 인격적으로 응답하는 기도이다. (§2705–2708) 정답확인 다시 풀기